본문 바로가기

정보

노인 주간보호센터 창업 절차-1

반응형

 

1.노인 주간보호센터 창업을 위한 시장조사및 사업계획

1). 대상 지역 선정

✅ 센터를 운영할 지역을 정하고, 해당 지역의 노인 인구와 복지 서비스 현황을 조사해.
✅ 고려해야 할 요소:

  • 해당 지역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율
  • 거동이 불편하거나 치매를 앓고 있는 노인의 수
  • 기존 요양 시설(요양병원, 요양원, 주간보호센터 등) 현황

2). 경쟁 시설 분석

✅ 해당 지역에 이미 운영 중인 노인 주간보호센터 개수 및 운영 현황을 조사해.
✅ 분석할 항목:

    • 센터의 위치와 규모
    • 제공 서비스(일반 돌봄, 재활 치료, 특화 프로그램 등)
    • 이용 요금 및 장기요양보험 적용 여부

 

3). 노인 및 보호자의 요구 조사

✅ 주요 고객층(어르신 & 보호자)이 원하는 서비스가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해.
✅ 방법:

  • 설문조사: 보호자 및 어르신을 대상으로 서비스 선호도 조사
  • 인터뷰: 노인복지관, 경로당 방문 후 의견 청취
  • 온라인 커뮤니티 분석: 네이버 카페, 맘카페, 복지 관련 커뮤니티에서 보호자들의 고민 확인

✅ 조사할 질문 예시:

  • 어떤 프로그램(운동, 인지 훈련, 레크리에이션 등)을 원하나요?
  • 주간보호센터 이용 시 가장 중요한 요소는? (비용, 접근성, 서비스 품질 등)
  • 현재 지역 내 주간보호센터에 대한 만족도는?

4). 정부 지원 및 정책 조사

✅ 해당 지역에서 노인 돌봄 관련 정부 지원금, 보조금, 운영비 지원이 있는지 확인해야 해.
✅ 조사할 사항:

  • 장기요양보험 수가: 주간보호센터 이용 시 요양 등급별 지원금 확인
  • 지방자치단체 지원금: 센터 개설 및 운영비 보조 가능 여부
  • 관련 법규 및 정책 변화: 최근 노인복지 정책 트렌드

 

한겨레

5). 사업 타당성 분석

✅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사업성이 있는지 분석.
✅ 주요 항목:

  • 수익성 분석: 예상 운영 비용 vs. 수익 계산
  • 고객 확보 가능성: 보호자와 노인의 관심도 평가
  • 차별화 전략: 경쟁 시설과 차별화된 서비스 개발

 

2.노인 주간보호센터 개설을 위한 법적 요건

노인 주간보호센터를 개설하려면 「노인복지법」 및 관련 법령을 준수해야 합니다.

1). 시설 설치 요건

시설 면적: 연면적 100㎡(약 30평) 이상
필수 공간:

  • 프로그램실(어르신 활동 공간)
  • 휴게실(어르신 낮잠·휴식 공간)
  • 사무실(운영진 및 직원 공간)
  • 화장실(어르신 편의 고려, 남녀 구분)
  • 식당 및 조리시설(위생 기준 준수

2). 인력 기준

시설장: 사회복지사, 의료인, 요양보호사, 특수교육·재활 관련 자격 보유자 중 1인
필수 직원:

  • 사회복지사(1급 또는 2급) 1명 이상
  • 간호사 또는 간호조무사 1명 이상
  • 요양보호사(노인 돌봄 담당) 1명 이상
    추가 인력:
  • 물리치료사(선택사항, 재활 프로그램 운영 시)
  • 조리원(직접 조리 시 필요)

3). 신고 및 허가 절차

지방자치단체(시·군·구청) 신고

  • 「노인복지법」 제32조에 따라 신고 필수
  • 시설 기준 및 인력 요건 충족해야 승인 가능
    소방·위생 안전 점검
  • 소방시설 설치(비상구, 소화기, 경보 시스템 등)
  • 위생검사 및 감염병 예방 기준 준수

장기요양기관 지정 신청 (선택사항)

  •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장기요양기관 지정 신청 가능
  • 지정받으면 장기요양보험 수가 적용 가능(정부 지원 혜택)

4). 운영 관련 법적 의무

운영 규정 마련

  • 어르신 이용 계약서 및 보호자 동의서 준비
  • 프로그램 운영 계획서 작성

기록 및 보고 의무

  • 어르신 건강 상태 및 활동 기록
  • 시설 운영 보고서 제출(관할 지자체 요청 시)

안전 및 감염관리 규정 준수

  • 감염 예방 교육 및 위생 관리(코로나19 이후 더욱 강화됨)
  • 낙상 예방 및 응급상황 대처 시스템 구축
  1.